반응형

전체 글 4205

Morning Briefing (2025.04.30)

* [美국채] : 장기물 6일째 강세…美 지표 부진에 10년물 금리 3주 최저 - 구인 건수·소비자신뢰지수 모두 예상 하회…10년물, 4.2% 하회 = 미국 국채가격은 장기물 중심의 강세를 이어갔다. 수익률곡선은 평평해졌다.(불 플래트닝) 미국 고용 및 소비심리 관련 지표가 연속으로 실망스럽게 나오면서 국채가격을 끌어올렸다. 장기물 가격은 6거래일 연속 올랐고, 단기물은 4거래일째 강세를 나타냈다. * [美증시] : 中만 빼면 순조로운 무역협상…동반 강세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은 진전이 없지만 주요 교역국 간 협상은 순조롭게 진행된다는 기대감에 매수세가 붙었다. * [국제유가] : "미·중 무역 준금수 수준"…WTI 2.63% 급락 = 뉴욕유..

★Morning Brief★ 2025.04.30

Morning Briefing (2025.04.29)

* [美국채] : 단기물 급등 속 불 스티프닝…주요 지표 앞두고 경계감 - 이번주 JOLTS·GDP·고용 등 데이터 봇물…거래량 크게 줄어 - 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 팬데믹 발발 이후 최저 = 미국 국채가격은 단기물의 급등 속에 강세를 나타냈다. 수익률곡선은 가팔라졌다.(불 스티프닝) / 이번 주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들이 줄을 잇는 가운데 경계감이 커지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움츠러드는 양상이었다. 뉴욕증시 나스닥종합지수는 오후 장 들어 1.5% 가까이 밀리기도 했다. * [美증시] : 공회전하는 미·중 협상에 실망…혼조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단기 급등 이후 조정 심리가 지배적이었던 가운데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이 공회전한다는 점도 투심을 억제했다. * [국제유가]..

★Morning Brief★ 2025.04.29

Morning Briefing (2025.04.28)

* [美국채] : 장기물 나흘째 강세…무역긴장 완화 기대 속 '불 플랫' = 미국 국채가격은 상승했다. 장기물의 나흘 연속 강세 속에 수익률곡선은 평평해졌다.(불 플래트닝)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유화 제스쳐를 취하는 가운데 중국도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이미 철회했거나 철회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무역긴장 완화 기대감이 높아졌다. 최근 급등한 미시간대의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 조사치가 하향 수정된 것도 국채가격 상승을 거들었다. * [美증시] : 최악은 지났다는 안도감…나흘째 강세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다. 동반 강세는 4거래일째 이어졌다. 미국과 중국이 실제 무역협상을 진행 중인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그럼에도 관세 갈등이 최악의..

★Morning Brief★ 2025.04.28

Morning Briefing (2025.04.25)

* [美국채] : 국채가 급등…매파의 '6월 인하' 신호에 비둘기 월러 가세 - '12월 인하' 반대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6월까지 데이터 확보되면 움직일 것" - 월러 "고용시장 악화하면 더 많은 금리 인하 더 빨리 이뤄질 것" = 미국 국채가격이 급등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유화적 제스쳐로 무역전쟁 우려가 줄어든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안에서 비둘기파적 신호가 잇달아 나온 영향이다. 매파적 견해를 자주 드러내 온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오는 6월 금리가 인하될 수도 있음을 시사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최근 들어 완연한 비둘기파 행보를 걷고 있는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고용시장 악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 [美증시] : 어쨌든 불확실성은 잦아든다…사흘째 강세 마감 =..

★Morning Brief★ 2025.04.25

Morning Briefing (2025.04.24)

* [美국채] : 금리 장중 급반등…무역긴장 완화+美 제조업 인플레 신호 - S&P 글로벌 美 합성 PMI 가격지수 13개월來 최고…제조업은 29개월來 최고 미국 국채가격은 이틀 연속으로 단기물은 내리고 장기물은 오르면서 혼조세를 나타냈다. 수익률곡선은 연속으로 평탄해졌다.(커브 플래트닝) / 다만 모든 구간에서 국채금리는 오전 장 초반 이후 급반등하는 흐름을 보였다. 미국 정부가 대중국 관세를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외신 보도에 무역긴장이 완화된 가운데 미국의 민간경기 지표에선 제조업을 중심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강해졌다는 신호가 나타난 영향이다. * [美증시] : 中 관세 인하 검토가 남긴 찜찜함…나스닥 2.50%↑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를 보였으나 찜찜한 구석도 있었다. 미국이 ..

★Morning Brief★ 2025.04.24

Morning Briefing (2025.04.23)

* [美국채] : 스티프닝 되돌림…위험선호 속 단기물은 약세 - '10-2년' 스프레드, 하루 만에 60bp 아래로…2년물 입찰 부진 = 미국 국채가격은 단기물은 내리고 장기물은 오르면서 혼조세를 나타냈다. 수익률곡선은 평탄해졌다.(커브 플래트닝) / 전날 전개됐던 급격한 스티프닝 양상이 일부 되돌려지는 장세가 연출됐다. 단기물은 위험선호 심리 속 뉴욕증시가 반등한 가운데 2년물 입찰 결과도 부진하게 나온 여파에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 [美증시] : 美·中 무역협상 낙관론 부상…동반 급등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2% 넘게 급등했다. 전날 급락분을 상당 부분 되찾았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지금처럼 교착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순 없다며 결국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스콧 베선트 미국 ..

★Morning Brief★ 2025.04.23

Morning Briefing (2025.04.22)

* [美국채] : 가파른 스팁…연준 독립성 우려에 장기금리 급등 재연 - 트럼프, 파월 "중대한 실패자"로 칭하며 금리 인하 압박 - '10-2년' 스프레드, 60bp 돌파…'外人 이탈' 가능성 지적 쏟아져 = 미국 국채가격은 단기물은 오르고 장기물은 크게 하락하면서 혼조세를 나타냈다. 수익률곡선은 빠르게 가팔라졌다.(커브 스티프닝)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의장에 대한 지속적 공격이 중앙은행 독립성에 대한 우려를 촉발했다. 뉴욕증시가 급락하는 와중에도 장기금리는 급등하는 기현상이 재연됐다. * [美증시] : 뉴욕증시, 트럼프 '파월 때리기' 지속에 급락…다우 2.5%↓(종합) - 투자자들, '연준 독립' 우려 확대…투자금 美이탈에 달러가치 3년만에 최저 ..

★Morning Brief★ 2025.04.22

Morning Briefing (2025.04.18)

* [美국채] : 국채가, 나흘만에↓…연휴 목전 한산한 거래 속 유가 급등 - '비둘기' ECB에 獨 국채금리는 하락…유가 영향에 기대 인플레 오름세 - 트럼프의 파월 저격, '스티프닝 재료' 해석도…다음날은 '성금요일' 휴장 = 미국 국채가격은 4거래일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부활절 연휴를 앞두고 거래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국채가격에 하락 압력을 가했다. 전체적으로는 '전강후약' 장세가 전개됐다. 유럽중앙은행(ECB)의 비둘기파적 스탠스와 일부 미국 경제지표 부진으로 나타났던 강세 분위기는 오전 장 후반쯤부터 약세로 반전했다. * [美증시] : 파월 압박하는 트럼프에도 '무덤덤'…혼조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성금요일' 휴장을 하루 앞두고 상대..

★Morning Brief★ 2025.04.18

Morning Briefing (2025.04.17)

* [美국채] : 국채가, 사흘째↑…'매파' 파월發 증시 급락에 매수세 - 파월, 관세에 이중책무 '충돌' 우려…"시장 질서있고, 예상대로 기능" = 미국 국채가격이 사흘째 강세를 이어갔다. 글로벌 채권시장의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3% 선을 하회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뉴욕증시가 급락하면서 국채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파월 의장은 트럼프 관세로 인해 연준의 이중책무가 충돌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 [美증시] : 뉴욕증시, 파월도 외면하고 기댈 곳도 없다…급락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급락했다. 지난해 증시를 이끌었던 엔비디아의 H20 칩을 미국 정부가 대중(對中) 수출 제한 대상으로 삼으면서 투자심리가 ..

★Morning Brief★ 2025.04.17